[연합뉴스] 내 식구 감싸기·밀어주고 당겨주기 판치는 LH 조직문화(종합)
작성일
2021-03-10
조회
2919
[연합뉴스 홍국기기자]
비리 직원들 자체 징계에 그쳐…여태껏 수사 의뢰 '0'
퇴직자 회사엔 일감 몰아주기 의혹…'LH 업자'도 활개
빨간불 켜진 LH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투기 의혹과 각종 망언이 사회적 공분을 자아내면서 LH 조직과 문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LH는 신도시 조성에 따라 1990년대 한국토지공사(토공)가 주택건설 사업에 참여하면서 대한주택공사(주공)와 업무가 중복되자 두 회사를 통합 설립한 법인이다. L은 토공(Land), H는 주공(House)의 약자를 따서 현재 사명이 LH가 됐다.
통합 과정에서 토공과 주공 직원들이 크게 반발했고, 2009년 LH 설립 이후에도 서로에 적대적인 분위기가 쉽사리 바뀌지 않았다. 통합 노조도 LH 설립 10년이 지난 2019년에야 출범했다.
현재 직원 수는 9천800여명이다. 직원 1인당 평균 보수(공기업 경영평가 성과급 제외)는 2019년 기준으로 약 6천890만원이다.
LH 직원들은 택지·도시 개발부터 주택 분양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수행한다. 부동산 관련 지식이 풍부할 수밖에 없다.
사내 메신저를 통해 '회사에서 잘려도 땅 수익이 평생 월급보다 많다'고 말해 구설에 오른 LH 한 여직원은 입사한 지 불과 6개월밖에 되지 않는다.
그가 공공택지를 다른 사람 명의로 '공투'(공동투자)하겠다고 한 말만 봐도 LH 직원들의 부동산 지식에 대한 수준과 관심이 얼마나 높은지 가늠할 수 있다.
LH 퇴직 직원 등에 따르면 LH에는 동기 모임 등을 통해 일종의 '투자클럽'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광명 시흥지구 땅 외에도 다양한 부동산 투자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LH 직원은 "직원들이 현장에서 보상과 판매 업무 등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부동산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며 "신입 사원들은 요즘 부동산이 하도 이슈다 보니 입사 전부터 상당한 수준의 지식을 갖춘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LH 직원 토지 투기 의혹 (PG)
[홍소영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LH에서 개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는 부서는 신도시 후보지를 결정하거나 개발을 추진하는 '신도시 사업부' 정도다.
해당 부서 직원들이 미공개 개발 정보를 보려면 시스템에 접속할 때마다 접속 기록이 남는다. 지정 외 컴퓨터에서 자료를 출력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신도시 사업 관련 업무를 맡은 직원은 정보를 유출하지 않겠다는 비밀유지 서약도 한다.
그러나 직원들의 내부 정보를 활용한 투기를 막는 안전장치는 이 정도가 전부다. 휴대전화로 화면만 찍어도 정보를 쉽게 빼돌릴 수 있는 구조다.
실제 2018년 고양 삼송·원흥지구 개발도면이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부동산 업자들은 LH 직원으로부터 입수한 해당 도면을 토대로 투자자를 모아 삼송·원흥지구에 토지를 사들인 뒤 오피스텔 등을 지어 시세차익을 노렸던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이렇게 심각한 사안에도 LH가 여태껏 경찰이나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는 점이다.
도면 유출 사건 때도 경찰에 접수된 신고가 수사의 실마리였다. LH는 계약직이었던 해당 직원과 계약을 해지하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했다.
LH 남양주사업단에서 토지 보상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은 한 부동산 개발업체로부터 법인카드를 받아 29차례에 걸쳐 약 280만원을 유흥비 등으로 사용했다가 국무조정실에 적발돼 지난해 6월 파면됐다.
남양주 진접지구에서 토지 보상 업무를 하던 그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그가 지주들에게 부동산 개발 업체와 업무 대행 계약서를 체결하도록 유도했다고 증언했다.
이 직원이 미공개 내부 정보를 부동산 업체에 건넸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가 필요했으나 당시 LH는 수사 의뢰를 하지 않았다.
부동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LH는 연봉도 높고 직간접적인 혜택이 많아 입사가 만만치 않은 '신의 직장'"이라며 "제 식구 감싸기와 밀어주고 끌어주기도 강한 조직"이라고 평가했다.
★이 기사 자세히 보러가기(클릭)
비리 직원들 자체 징계에 그쳐…여태껏 수사 의뢰 '0'
퇴직자 회사엔 일감 몰아주기 의혹…'LH 업자'도 활개
빨간불 켜진 LH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투기 의혹과 각종 망언이 사회적 공분을 자아내면서 LH 조직과 문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LH는 신도시 조성에 따라 1990년대 한국토지공사(토공)가 주택건설 사업에 참여하면서 대한주택공사(주공)와 업무가 중복되자 두 회사를 통합 설립한 법인이다. L은 토공(Land), H는 주공(House)의 약자를 따서 현재 사명이 LH가 됐다.
통합 과정에서 토공과 주공 직원들이 크게 반발했고, 2009년 LH 설립 이후에도 서로에 적대적인 분위기가 쉽사리 바뀌지 않았다. 통합 노조도 LH 설립 10년이 지난 2019년에야 출범했다.
현재 직원 수는 9천800여명이다. 직원 1인당 평균 보수(공기업 경영평가 성과급 제외)는 2019년 기준으로 약 6천890만원이다.
LH 직원들은 택지·도시 개발부터 주택 분양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수행한다. 부동산 관련 지식이 풍부할 수밖에 없다.
사내 메신저를 통해 '회사에서 잘려도 땅 수익이 평생 월급보다 많다'고 말해 구설에 오른 LH 한 여직원은 입사한 지 불과 6개월밖에 되지 않는다.
그가 공공택지를 다른 사람 명의로 '공투'(공동투자)하겠다고 한 말만 봐도 LH 직원들의 부동산 지식에 대한 수준과 관심이 얼마나 높은지 가늠할 수 있다.
LH 퇴직 직원 등에 따르면 LH에는 동기 모임 등을 통해 일종의 '투자클럽'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광명 시흥지구 땅 외에도 다양한 부동산 투자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LH 직원은 "직원들이 현장에서 보상과 판매 업무 등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부동산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며 "신입 사원들은 요즘 부동산이 하도 이슈다 보니 입사 전부터 상당한 수준의 지식을 갖춘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LH 직원 토지 투기 의혹 (PG)
[홍소영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LH에서 개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는 부서는 신도시 후보지를 결정하거나 개발을 추진하는 '신도시 사업부' 정도다.
해당 부서 직원들이 미공개 개발 정보를 보려면 시스템에 접속할 때마다 접속 기록이 남는다. 지정 외 컴퓨터에서 자료를 출력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신도시 사업 관련 업무를 맡은 직원은 정보를 유출하지 않겠다는 비밀유지 서약도 한다.
그러나 직원들의 내부 정보를 활용한 투기를 막는 안전장치는 이 정도가 전부다. 휴대전화로 화면만 찍어도 정보를 쉽게 빼돌릴 수 있는 구조다.
실제 2018년 고양 삼송·원흥지구 개발도면이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부동산 업자들은 LH 직원으로부터 입수한 해당 도면을 토대로 투자자를 모아 삼송·원흥지구에 토지를 사들인 뒤 오피스텔 등을 지어 시세차익을 노렸던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이렇게 심각한 사안에도 LH가 여태껏 경찰이나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는 점이다.
도면 유출 사건 때도 경찰에 접수된 신고가 수사의 실마리였다. LH는 계약직이었던 해당 직원과 계약을 해지하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했다.
LH 남양주사업단에서 토지 보상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은 한 부동산 개발업체로부터 법인카드를 받아 29차례에 걸쳐 약 280만원을 유흥비 등으로 사용했다가 국무조정실에 적발돼 지난해 6월 파면됐다.
남양주 진접지구에서 토지 보상 업무를 하던 그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그가 지주들에게 부동산 개발 업체와 업무 대행 계약서를 체결하도록 유도했다고 증언했다.
이 직원이 미공개 내부 정보를 부동산 업체에 건넸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가 필요했으나 당시 LH는 수사 의뢰를 하지 않았다.
부동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LH는 연봉도 높고 직간접적인 혜택이 많아 입사가 만만치 않은 '신의 직장'"이라며 "제 식구 감싸기와 밀어주고 끌어주기도 강한 조직"이라고 평가했다.
★이 기사 자세히 보러가기(클릭)